영덕 이야기 속으로 - 세 번째 영덕 이야기 속으로 - 세 번째 ♣ 도천리숲 400년 역사 천연기념물 제514호 - 류혜숙의 여행스케치 남한 유일 ‘삼굿’구덩이도 발견 뱀의 머리를 한 산이 마을을 노려보고 있다. 큰 홍수가 난 어느 해, 마을의 동주신은 윗동네의 숲을 물살에 실어 마을 앞에 옮겨 놓았다. 마을로 향한 뱀의 .. 그외지역/경상도 2016.04.21
영덕 이야기 속으로 - 그 두 번째 영덕 이야기 속으로 - 두 번째 ♣ 미륵불 04월 16일 토요일에 당한 상황인지라 그 후 도난신고가 접수되었는지 아니면 동네사람 누군가가 보관하고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사진 상의 미륵입니다. 미륵 조성 설 두 가지 옛날 200여년전 경지 정리하기 전에 논 옆 웅덩이네 형제가 놀다가 한 아.. 그외지역/경상도 2016.04.20
영덕 이야기 속으로 - 첫 번째 영덕 이야기 속으로 - 첫 번째 요신(妖神) 팔령(八鈴) 팔령신소재백귀퇴치(八鈴神所在百鬼退治) 우탁선생과 팔령신 인량동 팔풍정은 지금 수리 중 팔풍정(八風亭) 유래를 물었더니, 우탁 선생이 팔령신 물리친 이야기를 했다. 팔풍정은 인량동에 있는 정자이다. 팔풍정, 그것은 모릅니까? .. 그외지역/경상도 2016.04.20
속리산 법주사 톺아보기 법주사: 道不遠人 人遠道 山非俗離 俗離 - 최치원 詩 보은의 얼굴로 일컬어지는 법주사는 속리산 자락에 위치하고 있으며 신라 진흥왕 14년(553)에 의신조사가 처음으로 창건하였으며, 절의 이름은 '부처님의 법이 머문다'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창건 이래로 여러 차례 중건과 중수를 거쳤.. 그외지역/충청도 2016.03.28
부산 구룡사의 삼신할머니비 부산 구룡사의 삼신할머니비 삼신할머니비석으로는 국내 유일이 아닐까... 삼신이란? 1. 아기를 낳고 기르는 즉 産育을 관장하는 면을 강조하여 産神으로 보는 견해가 있는데 이는 산신이 三神으로 음운 변화했다고 하는 견해. 2. 삼신은 삼신할머니와 삼신할아버지, 또는 삼신할머니 둘.. 그외지역/경상도 2016.02.24
울진 조금리 각석문과 당집 울진 조금리 각석문과 당집 여러 산에서 발원하는 원수곡천과 姑母山(할무산)에서 발원하는 하조금천이 합류 겨울답지 않은 포근한 날씨가 이른 봄을 그리워함에 길을 나서게 만들었다. 울진, 광흥사 ‧ 수진사 ‧ 월궁사 그리고 온정면 조금리 각석암. 조금리는 마을 지형이 玉女.. 그외지역/경상도 2016.02.19
忠節의 名技 (傳) 巓花鶯 묘가 있어 忠節의 名技 (傳) 巓花鶯 묘가 있어 범서읍 두서면은 울산광역시의 서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북으로는 경주시의 내남면과 동으로는 두동면, 그리고 서쪽으로는 상북면과 인접해 있다. 행정구역은 인보리, 서하리, 구량리, 차리 내와리, 복안리, 활천리, 미호리, 전읍리 이렇게 9개의 .. 그외지역/경상도 2016.02.01
양산 통도사의 관음암 양산 통도사 산외암자 관음암 지난 1월 3일 양산 통도사 19암자 순례를 나섰다. 년 초부터 먼 지랄을 떠는가 싶지만 오롯이 혼자 걸어서 댕기지 않은 것만으로도 다들 내게 감사해야 할 것 같다. 왜냐하면 다친데 없이 멀쩡하게 살아서 왔으니까. 근데, 내가 생각했던 거 하고 틀렸던 점이 .. 그외지역/경상도 2016.01.07
마산의 마애부동명왕상 不動明王부동명왕 부동명왕은 밀교의 대표적인 明王이며, 不動如來使者하고도 한다. 원명은 아시알라(Acala)라고 하는데, 힌두교 시바신의 異名을 불교가 그대로 채택한 것이다. 불교에서는 이 명왕에게 사자의 성격을 부여하였다. 후에는 밀교 大日如來의 권화(權化 : 불보살이 중생구제.. 그외지역/경상도 2016.01.07
거창 답사의 잔재1 이뿐 단풍이 해괴하여... 왜냐고... 이렇더이다. 연리목 사이로 본 관세음 뒷모습... 우중충 하늘 보다 잡히는 산은 운무에 쌓였고... 잠시 비 그친 거창 당송리 당산 앞 담배창고는 정겨움이 가득... 2015년 11월 14일 - 손폰으로 찍은 사진들 그외지역/경상도 2015.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