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이월 두째 주 이틀 동안의 내력 2월 두째 주 이틀 동안의 여독 남송리고인돌 - 곡강최씨 시조묘 부근에 위치 2014년 02월 15일 토요일 신상구교수님, 김호경선생님과 내연산신 할무당에 들르기로 하여 우선 대전3리 백계당 총무님댁에 인사를 드리고 총무님과 함께 눈길을 헤치고 백계당으로 향하였습니다. 신교수님의 민.. 포항/포항의 고인돌 2014.02.17
장기면 서촌리 고인돌 탐사와 고라니의 사투 장기면 서촌리 고인돌 탐사와 고라니의 사투 노곡마을에서 만난 엄청 큰 개- 덕인선생이 놀라워 하며 좋아 하지만, 그러나 나는 무서워 가까이 가질 못햇다. 기온이 내려가며 추울 것이라는 일기예보를 접하고 구룡포주상절리 청소를 잘 할 수 있을까하고 내심 은근히 걱정을 했었는데, .. 포항/포항의 고인돌 2013.12.16
흥해읍 용곡리/양백리 고인돌 흥해읍 용곡리/양백리 고인돌 집사람은 회사에서 무신 연수 한다며 엊저녁에 청송으로 가삐고 혼자 일어나는 아침은 게으름에 간섭 없어 좋으다 하면서도 웬지 허전한 기분 또한 떨칠 수 없어 시원섭섭하다. 참말로 사람 마음은 간사하여 알다가도 모를 일이다. 오늘은 북부지역 지석묘 .. 포항/포항의 고인돌 2013.06.24
흥해 금장리 고인돌 흥해 금장리 고인돌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가 아이고 그 많던 고인돌은 누가 다 없앴을까? 포항지역에 조사되었던 고인돌은 한 때 650여기나 되었지만 지금은 약 350여기 정도 밖에 남지 않았단다. 그래서 2011년도부터 포항시에서 고인돌에 푯말을 부착하기 시작하였는데 .. 포항/포항의 고인돌 2013.05.24
포항남구지역 고인돌 1일차 포항남구지역 고인돌 1차 고인돌 우리나라 청동기 시대를 대표하는 문화유산인 고인돌은 하부구조에 무덤방이 있어 지석묘(支石墓)라 한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조사된 고인돌 형식은 크게 4가지 형태로 분류할 수 있는데 탁자식, 기반식, 개석식, 위석식이다. 포항의 경우 대부분 개.. 포항/포항의 고인돌 2013.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