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경사성보박물관 전시 유물 보경사성보박물관 - 2017년 05월 14일 현재 보경사성보박물관- 2017년 사월초파일에 개관하였습니다. 야외 전시 종 단기 4303년(1970년)에 성종사 원국진이라는 사람이 주조한 종이다. 종신에는 지장보살 아래로 옴마니반메훔 육자진언이 새겨져 있다. 구시 ‘구시’라는 나라 제사 때 또는 행.. 포항/지정문화재 2017.05.23
포항시 지정 향토문화유산 답사안내 포항시 지정 향토문화유산 답사안내 일련 번호 지정 종별 문화유산명 수량 관리자 소재지 지정 여부 1 유형 정몽주유허비 2기 오천서원 오천 원리 가결 2 유형 부윤재 5동 부윤장학회 기게 미현리 가결 3 유형 현내리 유허비각 1동 부윤장학회 기계 현내리 유보 4 무형 구진마을 앉은줄다리.. 포항/지정문화재 2017.04.13
진솔선예백장 동인 담화 청동 진솔선예백장 인장(靑銅 晋率善濊伯長 印章) 이것은 청동으로 만든 도장으로 높이가 2.8센티미터에 길이 2.3센티미터로 꼭지는 웅크리고 앉은 짐승이 고개를 처든 채 앞을 바라보는 형상이다. 인면(印面) 주변이 깨진 점으로 보아 실제로 사용하던 관인(官印)으로 추정되며, 3세기경의.. 포항/지정문화재 2015.04.09
보경사 주련 보경사 주련 1. 대웅전 주련 천상천하무여불(天上天下無如佛) 시방세계역무비(十方世界亦無比) 세간소유아진견(世間所有我盡見) 일체무유여불자(一切無有如佛者) *찬불게(讚佛偈): 부처님을 찬탄하는 게송. [본생경(本生經)]에서 말하기를, 아주 먼 과거에 저사(底沙)라는 부처님이 계셨.. 포항/지정문화재 2015.04.07
풍수로 본 보경사 풍수로 본 보경사 보경사는 포항시 송라면 중산리 내연산(內延山)에 있는 절로서 대한 불교 조계종 제11교구 본사인 불국사의 말사이다. 602년(진평왕 25) 진나라에서 유학하고 돌아온 대덕(大德) 지명(智明)에 의하여 창건되었다. 지명은 왕에게 동해안 명산에서 명당을 찾아 진나라에서 .. 포항/지정문화재 2015.04.01
보경사 적광전의 건축적 가치 보경사 적광전의 건축적 가치 1. 사면에 공포를 가진 조선중기의 다포계 맞배집이다. 보경사 적광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건물로 공포가 전후좌우 면에 모두 배열된 다포계 지붕 개수형 맞배집인데, 이러한 예는 청양 장곡사 하대웅전, 고창 선운사 참당암 대웅전, 울진 불영사 응진전 .. 포항/지정문화재 2015.04.01
포항 중성리 신라비’ 등 14건 국가지정문화재(국보․보물) 지정 예고 보 도 자 료 [2015. 2. 26.] 보도시점 배포 시점부터 보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담당부서 유형문화재과 전화번호 042-481-4686 042-481-4687 담 당 자 강동석 연구관 이종숙 연구사 F A X 042-481-4939 ‘포항 중성리 신라비’ 등 14건 국가지정문화재(국보․보물) 지정 예고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보.. 포항/지정문화재 2015.02.27
포항 보경사 적광전 보물 지정 예고 ‘포항 보경사 적광전’보물 지정 예고 - 조선 중기 다포계 맞배지붕 건축물 -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경상북도 포항시에 위치한 ‘포항 보경사 적광전(浦項 寶鏡寺 寂光殿)’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하였다. 보경사 연기(緣起, 절을 짓게 된 유래 등에 대한 설화)에 따르면,.. 포항/지정문화재 2015.02.23
오어사 대웅전 외부 포벽의 불화 오어사 대웅전 외부 포벽에 조성된 불화는 전면을 제외한 3면 포벽에는 거의 관세음보살을 그렸고, 전면에는 현재 현수막이 부착되어 있어 겨우 향좌측 모서리 부분에만 확인이 되는데 여래를 조성하였습니다. 관음보살의 형식은 거의 같으나 약간의 색감 또는 광배 모양 등이 조금씩 차.. 포항/지정문화재 2014.04.28
석곡서당과 석리 답사 석곡서당과 석리 답사 석곡선생 종부님의 얘기를 듣고 있습니다. 좌부터 종부님, 강병우선생님, 신상구교수님, 권혁창선생님, 왕승호선생님 01월 11일 경주시에서 ‘왕의 길’ 홍보책자를 출판하여 배부한다는 김환대님의 얘기를 듣고 신상구교수님과 통화를 하다 올해부터 포항의 ‘열.. 포항/지정문화재 2013.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