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장기 두원리 ㄴ자 소나무 당목 포항 장기 두원리 소나무 당목 두원마을을 진입하면 소나무가 곧바로 나타나지만 주차할 공간이 없어 마을로 더 들어가 골목 어귀에 주차를 하면 된다. 가끔 불어 닥치는 매서운 바람이 겨울의 끝자락을 힘겹게 붙들고 있지만 손끝을 시리게 하는 바람에도 벌써 봄의 기운은 묻어.. 포항/비지정문화재 2012.02.22
포항 장기지역 비지정문화재를 찾아 - 5 장기지역 비지정문화재를 찾아 - 그 다섯번 째 마지막으로 금곡리와 마현리 지역을 찾아갑니다. 금산서원: 포항시 남구 장기면 금곡리 금곡리 하금마을에 위치한 琴山書院은 1707년(숙종 33년)에 許進壽(1522∼1570)를 향사하는 곳으로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년)에 훼철되.. 포항/비지정문화재 2012.02.21
포항 장기지역 비지정문화재를 찾아 - 4 장기지역 비지정문화재를 찾아 - 그 네번 째 장기면 임중리와 양포리 지역입니다. 김사민: 포항시 남구 장기면 임중2리 임중리 새장터 마을 앞 국도변에 위치하며 효자 金士敏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조선조 광무(光武) 2년(1898년) 건립된 비각이며, 정면1칸 측면1칸의 북동향 건물로.. 포항/비지정문화재 2012.02.21
포항 장기지역 비지정문화재를 찾아 - 3 장기지역 비지정문화재를 찾아 - 그 세번 째 김시상 정효각: 포항시 남구 장기면 산서리 조선 영조 때 효자인 金時相을 기리는 정효각이다. 비각은 남향 건물로 정면1칸 측면1칸이며 맞배지붕에 겹처마이다. 맑은 하늘이지만 날씨는 엄청춥다... 旌孝閣(정효각) - 그림같은 글씨가 .. 포항/비지정문화재 2012.02.21
포항 장기지역 비지정문화재를 찾아 - 2 장기지역 비지정문화재를 찾아 - 그 두번째 이제 장기 방산리로 갑니다. 봉덕서원: 포항시 남구 장기면 방산리 방산 1리 팔어실마을에 위치한다. 통덕랑을 지낸 밀양(密陽) 박두극(朴斗極)을 향사하는 곳이며, 건립연대는 미상이다. 정문인 ‘경앙문’은 정면 3칸 측면1칸이며, 맞배지붕의.. 포항/비지정문화재 2012.02.21
포항 장기지역 비지정문화재를 찾아 - 1 장기지역 비지정문화재를 찾아 - 1 ♣ 정천리 선정비: 포항시 남구 장기면 정천2리 오천에서 장기방향으로 장승백이(오천과 장기의 경계지점)를 넘어 정천주유소 지나 정천교에서 약 150m 정도 장기방향 도로가에 방형의 스텐 철책으로 보호하고 있는 2기의 비석을 볼 수 있다. 원래.. 포항/비지정문화재 2012.02.20
장기의 성판권안휴허지를 찾아 장기향교의 오성팔현 위패를 권안하였던 원래의 터를 찾아 꿩대신 닭 - 국구암 찾으려다 실패 후 임란 때 공을 세운 세 분들의 유허비- 원래의 자리는 이곳이 아니다. 비석 2기가 있으나 죽계(좌)의 비가 없어 최근에 새로이 조성하였다. 성판권안유허비(聖版權安遺墟碑) 신창1리 .. 포항/비지정문화재 2012.02.07
신라시대 왕자의 태실이 묻혔던 곳 태봉 신라시대 왕자의 태반을 묻었다는 '태봉산'의 유적이 역사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무관심 속에 방치되고 있습니다. 조선시대 태실에 비해 신라시대 것은 흔치 않은데도, 보존은 커녕 도굴의 표적이 되어 지금은 거의 도굴을 당하여 원형이 상실하여 심하게 훼손되어 있습니다. 경북 .. 포항/비지정문화재 2011.06.27
포항 장기면의 바닷가 민속신앙을 찾아 地角東窮碧海頭 지각동궁벽해두 建坤何處有三丘 건곤하처유삼구 塵寰裨隘吾無意 진환비애오무의 欲駕秋風泛魯桴 욕가추풍범로부 대지 뻗어나 동해에 닿았는데 천지간 어디에 삼신산이 있느뇨 비속한 티끝세상 벗어나고자 추풍에 배 띄어 선계를 찾고 싶네. 소봉대 시비- 2003년에 장기발전연구회에.. 포항/비지정문화재 2011.02.07
임진왜란과 장기의 이눌비 채전밭을 하얗게 솜이불처럼 뒤덮은 밭을 가로질러 대나무 밭 뒤편에 '이눌'의 사적비가 있다. 그 일대가 장기향교의 옛터이다. 훈도공 이눌(李訥)의 자는 약우(若愚) 호는 낙의재(樂義齋)이며 본관은 청안(淸安)이다. 고려조 청안군 충원공 양길의 후손이다. 장기현(지금의 포항시 구룡포읍, 장기면, .. 포항/비지정문화재 2011.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