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해 선돌과 용천리 칠성바우 설명절 이튿날 흥해 선돌과 용천리 칠성바우 왜 이렇게 되었는지는 모르겠지만 몇 해 전부터 우리 집사람 시각으로 동서가 없다는 핑계로 한 겨울 석 달 동안 큰일을 혼자서 여섯 번 치러내야 하는 입장에서 오로지 힘들다는 그 구실로 명절 오후쯤에는 짐 챙겨들고 처갓집으로 가는 자.. 포항/비지정문화재 2013.02.12
포항남구지역 고인돌 1일차 포항남구지역 고인돌 1차 고인돌 우리나라 청동기 시대를 대표하는 문화유산인 고인돌은 하부구조에 무덤방이 있어 지석묘(支石墓)라 한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조사된 고인돌 형식은 크게 4가지 형태로 분류할 수 있는데 탁자식, 기반식, 개석식, 위석식이다. 포항의 경우 대부분 개.. 포항/포항의 고인돌 2013.01.21
석곡서당과 석리 답사 석곡서당과 석리 답사 석곡선생 종부님의 얘기를 듣고 있습니다. 좌부터 종부님, 강병우선생님, 신상구교수님, 권혁창선생님, 왕승호선생님 01월 11일 경주시에서 ‘왕의 길’ 홍보책자를 출판하여 배부한다는 김환대님의 얘기를 듣고 신상구교수님과 통화를 하다 올해부터 포항의 ‘열.. 포항/지정문화재 2013.01.14
경주 외동읍 괘릉리 바위구멍 유적 경주 외동읍 괘릉리 바위구멍 신라 38대 원성왕으로 추정하고 있는 괘릉 북서쪽에 괘릉마을이 있다. 괘릉으로 해서 진입하는 방법과 경주에서 울산방향으로 가다가 괘릉 못 미쳐 신호등에서 좌회전하여 들어가면 마을이 나타난다. 마을 남쪽으로 넓게 논들이 펼쳐지는 방향으로 바라보면 낮게 엎드린.. 경주/기타 2011.09.16
경주 조양동 솔뫼산 주변 바위구멍과 연화대좌 경주 조양동 솔뫼산 주변 바위구멍과 연화대좌 조양동의 거북바위를 보고나서 솔뫼산 동편 방향으로 걸음을 옮긴다. 민가와 붙어있는 심원사라는 절집이 솔뫼산 오솔길과 나란히 있고 길은 계속 이어지는데 깨밭, 정구지밭, 콩밭이 나오고 밭둑사이사이로 뿌리를 깊이 박고 붙박이로 사는 바위가 보.. 카테고리 없음 2011.09.14
경주 용장 틈수곡마을 바위구멍 유적 경주 내남면 용장3리 틈수곡마을 바위구멍 경주에서 부산·언양으로 가는 35번 (구)국도를 타고 가다 와룡사·천룡사 방면 등산로 언저리 틈수곡마을 안으로 들어가면 4기의 바위구멍 유적을 만날 수 있다. 틈수골이라는 마을 이름은 동네 좌우의 산이 아주 협소하여 골짜기에 흐르는 냇물이, 산재한 .. 경주/기타 2011.09.14
포항 장기면의 바닷가 민속신앙을 찾아 地角東窮碧海頭 지각동궁벽해두 建坤何處有三丘 건곤하처유삼구 塵寰裨隘吾無意 진환비애오무의 欲駕秋風泛魯桴 욕가추풍범로부 대지 뻗어나 동해에 닿았는데 천지간 어디에 삼신산이 있느뇨 비속한 티끝세상 벗어나고자 추풍에 배 띄어 선계를 찾고 싶네. 소봉대 시비- 2003년에 장기발전연구회에.. 포항/비지정문화재 2011.02.07
바위문화의 흔적을 찾아- 2 경주 양북 범곡마을에도 바위구멍 유적이 많습니다. 범곡리 하범마을은 범이 자주 나타나 호실이라 칭하다가 범곡으로 개칭되었는데, 신라시대 화랑도들이 대왕암에 참배하러 다니던 길이었다고 합니다. 다음은 범곡마을의 바위구멍을 돌아보겠습니다. 극락사 경내에 있는 바위입니다. 범곡마을 극.. 포항/암각화 2010.05.06
바위문화의 흔적을 찾아- 1 어느 날 부턴가 우리 집의 어린이날 행사는 부친의 묘소에 들르는 것으로 시작을 하였는데 애들이 두세 살부터 시작하여 지금껏 이어오고 있으며 오늘도 예외는 아닙니다. 묘소에 들러 잠깐의 참배 후 오늘은 경주 양북으로 바위구멍을 찾아보기로 작정을 하였습니다. 동해면 염장마을 할매돌 신정1.. 포항/암각화 2010.05.06
포항 구룡포, 대보의 바위구멍 포항 구룡포 방면 바위구멍을 소개합니다. 1. 석병리 할배바위 유적 석병2리 긴 방파제 초입에 있는 큰 바위로서 매년 두 차례(음력 3월과 9월) 오래전 석병리에 최초 입향조였던 분에게 제사를 올리는 바위이다. 최초의 입향조가 누구인지 알 수 없어 할배바위라고 부르고 있단다. 정상부 북동쪽과 북.. 포항/암각화 2010.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