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연죽로시옥과 대팽두부과강채, 고회부처아녀손 영남대박물관 답사 시 접했던 즐거움 김정희, <단연죽로시옥>, 종이에 먹, 81×180cm, 영남대박물관 추사체 조형미의 진면목과 함께 조촐한 선비의 마음을 전하고 있는 강상시절에 완성한 단연죽로시옥(端硏竹爐詩屋) 삼묘노회 11월 07일 우중에도 불구하고 떠난 영남대박물관 답사 중 .. 그외지역/경상도 2015.11.09
부산박불관 - 관음보살도 수화승 기전의 관음보살도 자연을 배경으로 암좌에 앉아 온 세상 인간의 온갖 번뇌의 소리를 들어주는 자애로운 모습의 관음보살상은 옛부터 인기 있는 도상으로, 어느 시대 어느 지역 어느 사찰을 막론하고 어느 곳에나 존재하는 관음보살상의 많은 유례가 그 사실을 증명 해주고 있다... 그외지역/경상도 2015.09.15
부산박물관 - 목조옴마니반메홈소통 아쉬웠던 여름이 밀려오는 가을을 시샘이라도 하듯 하소연의 눈물바람은 치적치적 짧은 소매 얇은 옷자락은 안으로 파고드는 얕은 한기에 자꾸만 옷깃을 여미게 하는데 어이 올 가실은 유난히 빨리 온다고 투정 부릴까? 갈색가시 갈 햇밤은 어느 새 툭툭 떨어지고 있건만, 전혀 색깔을 .. 그외지역/경상도 2015.09.14
군위에서 발견된 검파형암각화와 윷판형암각화 군위에서 발견된 암각화의 중요성 경북신문 : 2015년 09월 08일(화) 20:39 군위에서 한국형암각화로 일컫는 검파형암각화가 새로 발견되면서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다. 이 암각화는 군위군 군위읍 수서리 강변에 있던 바위에서 발견된 것으로 현재는 군위읍 내 숭덕관 뜰에 옮겨 보관.. 그외지역/경상도 2015.09.10
을미년 가을에 떠난 울산 답사 -5 운흥사터 운흥사터는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에서 발굴을 해 2003년에 보고서를 냈다. 그에 따르면 진평왕 때 원효대사가 절을 창건하였으며 그에 따른 암자가 13곳, 스님이 1000여명에 이르렀다고 한다. 그 후, 고려 말에 지공(指空)선사가 중창했으나 임진왜란에 불탔다. 다시 광해군 6년인 .. 그외지역/경상도 2015.09.09
을미년 가을에 떠난 울산 답사 -4 국화에 얽힌 일본의 전설 국화는 일본 전역 어디에서고 자란다. 그러나 히메지에는 국화를 불길하게 여기는 사람들도 많다. 옛날 일본의 어느 지방(히메지)에 마음씨 고약하고 의심 많은 히메지 성의 영주가 있었는데, 그는 ‘국화꽃’(오-키쿠)이란 이름을 지닌 사람을 고용해 온갖 보삭.. 그외지역/경상도 2015.09.09
을미년 가을에 떠난 울산 답사 -3 개암나무 우리나라 옛이야기 혹부리영감에 나오는 개암나무의 열매 개암은 딱딱한 껍질 때문에 숨어 있던 혹부리영감이 도깨비에게 들키고 말았다. 그 개암나무에 얽힌 다소 색다른 전설이 있었으니... 아담과 이브가 신의 명령을 어기고 선악과를 따먹어 낙원에서 추방당했다. 신은 아.. 그외지역/경상도 2015.09.08
을미년 가을에 떠난 울산 답사 -2 예수와 무화과나무 예수의 저주를 받은 나무 한 그루가 있다. 예수가 베다니에서 나와 예루살렘 성으로 가는 길에 마침 길가에 무화과나무를 발견하고 열매를 따먹으려고 갔지만 기대했던 열매가 하나도 없었다. 그러자 몹시 화가 난 예수는 무화과나무가 앞으로 영원히 열매를 맺지 못.. 그외지역/경상도 2015.09.08
울진 해월헌 편액 울진 해월헌 편액 暮古窩(모고와) - 정침 사랑채 현판 海月軒(해월헌) - 아계 이산해(鵝溪 李山海) 謹次海月軒韻(근차해월헌운) - 식암 황섬섬(息庵 黃暹暹) 제 해월헌(題 海月軒) - 약포 정탁(藥圃 鄭琢) 차 해월헌 운(次 海月軒 韻) - 지봉 이수광(芝峰 李睟光) 차 해월헌 운(次 海月軒 韻.. 그외지역/경상도 2015.08.25
울진 영명사 울진 영명사 가마이 들앉았던 집사람이 갑자기 뚱딴지같은 소릴 한다. 코스모스가 보고 싶다나, 그것도 울진 봉평리신라비 있는 곳에... 글쎄 봉평리신라비 근처에 코스모스가 있었나, 가물가물하는 내 기억을 탓하며 울진 쪽으로 방향을 잡고 보니 황여일선생의 해월종택도 보고 잡다. .. 그외지역/경상도 2015.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