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배천희 진각국사 사당과 묘 칠포리암각화 제단바위에서 고천제가 끝나고 흥해로 이동하여 해물찜으로 점심을 먹은 후 조승운선생님의 제의로 배천희국사 묘지를 둘러보기로 하였습니다. 황량한 흥해 용전리 앞 들을 지나 양백1리에 들어서니 길옆에 쉼터가 나옵니다. 돌 표지판이 아주 재밌습니다. 양백1리 마을회관을 지나자.. 포항/지정문화재 2010.12.13
포항고문화연구회- 고천제 참석 포항고문화연구회에서 매년 지내는 고천제(告天祭)를 다녀왔습니다. 아침 9시 경에 모여 오늘은 칠포리암각화로 출발합니다. 올해는 포항고문화연구회의 옛 명칭인 포철고문화연구회에서 처음 칠포리암각화를 발견한 장소에서 고천제를 지내기에 그 뜻 깊음이 더 할 것입니다. 작년 오천 근방 천제.. 포항/암각화 2010.12.13
구룡포공원 공덕비의 이모저모 엄청 더바빠진 포항을 피해 달아난 구룡포는 파도에 밀려온 해풍으로 언제 더밨나 캐사며 비웃음인양 하얀 포말로 부서진다. 방파제에서 바라본 구룡포공원은 심상보통소학교(현 구룡포동부초교)와 도가와 야사브로의 송덕비를 감추고 속살을 내비추지 않는다. 지금의 홍보전시관 뒷골목으로 자드.. 포항/비지정문화재 2010.08.20
청하 보경사에 룡 출현!!! 7월 마지막 주 보경사 안내자원봉사 하던 중 발견 파손된 석재(석탑 추정)의 한면에 새겨진 룡같은 모습의 선각 발견 룡이 보이능교? 이래도... 여서도 안보이모 현장에 가서 직접 보는 수밖에... 포항/내연산 2010.08.09
바위문화의 흔적을 찾아- 2 경주 양북 범곡마을에도 바위구멍 유적이 많습니다. 범곡리 하범마을은 범이 자주 나타나 호실이라 칭하다가 범곡으로 개칭되었는데, 신라시대 화랑도들이 대왕암에 참배하러 다니던 길이었다고 합니다. 다음은 범곡마을의 바위구멍을 돌아보겠습니다. 극락사 경내에 있는 바위입니다. 범곡마을 극.. 포항/암각화 2010.05.06
바위문화의 흔적을 찾아- 1 어느 날 부턴가 우리 집의 어린이날 행사는 부친의 묘소에 들르는 것으로 시작을 하였는데 애들이 두세 살부터 시작하여 지금껏 이어오고 있으며 오늘도 예외는 아닙니다. 묘소에 들러 잠깐의 참배 후 오늘은 경주 양북으로 바위구멍을 찾아보기로 작정을 하였습니다. 동해면 염장마을 할매돌 신정1.. 포항/암각화 2010.05.06
내연산 할매산신제- 1 지난 4월 28일 음력으로 삼월 보름날입니다. 하늘 바싹 휘영청 걸린 시리도록 허여니 멀금한 보름달 그 달빛살을 한아름 가득 안고 오늘은 내연산 할매산신제를 지내는 날입니다. 보경사 상가 고향식당에서 유사 이상구님을 만나 대전3리로 포항KYC 사무국장 이정혜님의 베테랑급 운전실력을 믿고 출발.. 포항/비지정문화재 2010.04.30
내고장 문화재가꾸기 행사- 경북일보 "우리고장 문화재 우리가 지키자" 포항KYC, 칠포·보경사서 정화활동 기사입력 | 2010-04-28 포항KYC 문화역사길라잡이 회원과 연일지역 초·중등학생들이 송라 보경사에서 자원봉사를 갖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우리고장의 문화유산, 우리 스스로 지키고 가꿉니다!" '포항KYC 문화역사 길라잡이(이하 길.. 포항/지정문화재 2010.04.28
포항 내연산 백계당 금줄 2010년 4월 28일 포항 내연산 산신제에 앞서 지난 4월 25일 내연산 할매신을 모신 백계당 청소 및 금줄을 치고 왔습니다. 마을 유사가 왼새끼를 꼬는 모습입니다. 금줄은 부정한 것이 들어오는 것을 엄금하는 줄 다시 말하면 내부 공간을 보호하기 위해 외부와 내부를 차단하는 줄이다. 그래서 금줄은 신.. 포항/비지정문화재 2010.04.28
포항 사방공원 내의 흥해송라도중관해도 시비 사방기념공원 산 정상에 있는 흥해송라도중관해도 시비 [興海松羅途中觀海濤]흥해ㆍ송라 길에 바다의 파도를 보며- 석재 박효수(朴孝修) 세찬 바람 갑자기 일어 바다를 뒤집으니 / 颶風欻起飜滄溟 하늘과 물이 서로 붙어 캄캄해지다 / 天水相兼晦且冥 만 송이 은산은 낮아졌다 다시 일어서고 / 銀山萬.. 포항/비지정문화재 2010.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