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대성사의 사명대사 원불 1. 금동여래좌상: 사명대사 원불 유형문화재 제409호(2009.04.30): 포항시 북구 용흥동 540-4(대성사) 이 불상은 임진왜란 때 승병을 이끌었던 사명대사의 원불이라 전하는 높이 9.5cm 의 소형 금동여래좌상이다. 연화대좌 위에 편단우견의 대의를 입고 결가부좌하였으 며 왼손은 선정인, .. 포항/지정문화재 2011.11.21
울산 천전리각석에 낙서를... "국보 천전리각석 낙서범 잡아라". 경찰수사(종합) | 기사입력 2011-09-08 10:28 | 최종수정 2011-09-08 10:50 국보에 그려진 낙서 (울산=연합뉴스) 장영은 기자 = 30일 울산시 울주군의 국보 285호 반구대 암각화와 함께 울산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암각화 유물인 국보 147호 천전리 각석(사진)에 돌로 그린 듯한 낙서.. 포항/암각화 2011.09.30
포항 흥해 천곡사 관세음보살님 천곡사 법당이 대웅전이 아이고 관음전입니다. 승탑 밭이 절집 밖 도로 옆 언덕빼기에 옹기종기 모여 해바라기를 하고 있을 때를 기억하셨던 분들은 차라리 가지 마세요. 두고두고 곶감 빼먹듯 추억에 묻혀 아련함에 몸서리치는 분들에게 백번 고개 숙여 권하오니 절대로 가지 마세요. 관세음보살님.. 포항/비지정문화재 2011.09.07
조왕- 청하 보경사(절집) 조왕신(爬王神) 청하 보경사 조왕신 보경사 공양간 즉 부엌 한쪽 벽에 모시다가 지금은 새로이 건축된 지하 공양간 들목 좌 벽에 조왕신이 모셔져 있습니다. 조왕신은 흔히 접한 대로 부엌을 관장하는 부엌신이라 할 수 있습니다. 1. 조왕신의 여러 가지 기능 민간 신앙의 한 형태가 불교권으로 들어온 .. 포항/내연산 2011.08.23
칠포리암각화 현장답사(8/13) 포항문길 제6기 현장답사- 칠포리암각화 매년 4~6월에 시행되어지던 문화역사길라잡이 현장 답사 교육이 머 우에다 보이까네 8월 하고도 중순 13일에서야 겨우 4명이서 칠포리로 가게 되었습니다. 속닥허니 출발한 현장 답사가 이하우선생님의 열정으로 재미난 얘기와 더불어 귀에 쏙, 눈에 쏙 박히도.. 포항/지정문화재 2011.08.16
포항 백계당, 안국사터 안내판 설치 내연산 백계당 등 안내판 설치 KYC 포항지부 역사문화길라잡이회 기사입력 | 2011-08-08 한국청년연합(KYC) 포항지부 역사문화길라잡이회(회장 이상령)회원들이 지난 6일 포항 지역 문화재인 내연산(內延山) 백계당(白啓堂)과 운주산(雲住山) 안국사(安國寺) 터 안내판을 설치했다. 을사조약 이후 1906년 영.. 포항/비지정문화재 2011.08.08
선사시대 무덤을 보듬고 사는 포항시 동해면 금광리 선사시대 무덤을 보듬고 사는 포항시 동해면 금광리 지금은 포항시 관할로 통합되었지만 불과 몇 년 전까지도 영일군 동해면 금광리로 불리던 금광리는 말 그대로 금을 캐는 광산이 존재했던 곳입니다. 지금도 마을 뒷산에는 광산의 흔적이 남아있습니다. 마을 안으로 들어서자 옛날 서원의 우물 자.. 포항/비지정문화재 2011.07.13
신라시대 왕자의 태실이 묻혔던 곳 태봉 신라시대 왕자의 태반을 묻었다는 '태봉산'의 유적이 역사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무관심 속에 방치되고 있습니다. 조선시대 태실에 비해 신라시대 것은 흔치 않은데도, 보존은 커녕 도굴의 표적이 되어 지금은 거의 도굴을 당하여 원형이 상실하여 심하게 훼손되어 있습니다. 경북 .. 포항/비지정문화재 2011.06.27
석곡 이규준선생님의 묘소를 찾아 포항출신 조선 대표 한의학자 업적 재조명 '한 목소리' 고향 동해면 임곡리서 수많은 의학 저서 펴내 목판본 육백 여 개 '천덕꾸러기' 관리 · 보존 절실 포항 출신의 유명한 한학자이면서 한의학자였던 석곡 이규준(1855~1923) 선생의 업적이 지역 향토사에서 재조명 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 포항/비지정문화재 2011.06.27
포항에서 암각화 학술대회를 개최합니다. 칠포리 암각화발견 20주년 기념 학술대회 영일만 선사시대와 칠포리 암각화 1. 학술대회의 개최 필요성 및 의의 암각화는 선사와 고대 사회의 문화현상을 밝히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고고․미술사적 유적이다. 그간 암각화에 대한 연구는 이를 통하여 한국 선사・고대 사회의 문화전개 양상을 밝히고.. 포항/암각화 2011.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