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비슬산 용연사 벽화- 아마 중국 고사에 나오는 신선의 모습인것 같습니다.
切磋琢磨 大器晩成
절차탁마(切磋琢磨)는 뼈나 상아나 옥돌로 물건을 만들 때, 순서를 밟아 다듬고
또 다듬어, 대기만성(大器晩成)은 완전무결한 물건으로 만들어 내는 것을 말한다.
切- 뼈를 자르듯, 磋- 상아를 깎는 듯, 琢- 옥을 쪼는 듯, 磨- 돌을 가는 듯
이라는 뜻이다.
학문(切磋)을 닦고 수양(琢磨)을 쌓는 데도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야만 비로소
성공할 수 있고 대기만성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말을 쓰게 된 것이다.
이 말은 시경 위풍오기편에 있는 시로 학문과 덕을 쌓은 군자를 찬양해서 부른 것
인데 살펴 보먼 다음과 같다.
“시에 이르기를 찬란한 군자여, 칼로 자른 듯하고, 줄로 깎는 듯 하며, 끌로 쪼는
듯하고 숫돌로 간 듯 하도다“ 라 했다.
여기에서 자른 듯하고 깎는 듯 하다는 것은 학문을 말한 것이고, 쪼는 듯하고 간
듯 하다는 것은 스스로 닦는 수양을 말하는 것이다.
이 절차탁마는 논어 학이편에도 나온다.
자공이 공자에게 물었다.
“가난해도 아첨하는 일이 없고, 부해도 교만 하는 일이 없으면 어떻습니까?“
”옳은 일이긴 하나 가난해도 도를 즐기고, 부해도 예를 좋아하는 것만 못하다“
”시경에 이르기를 ‘如切如磋 如琢如磨’라 했는데 바로 이런 것을 두고 한 말이군요“
그러자 공자는 자못 흐뭇한 표정으로
“너야말로 참으로 함께 시를 말할 수 있다.” 라고 칭찬했다.
이 如切如磋 如琢如磨(여절여차 여탁여마)의 여덟 글자에서 ‘如’란 글자를 빼고
합친 것이 절차탁마다.
꾸준히 노력을 하되 순서 있게 하는 것이 절차탁마이며 그러한 노력을 하는 자만이
대기만성 할 것이니 결국은 절차탁마 대기만성일 것이다.
'한자·한문 배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고推敲란? (0) | 2014.12.22 |
---|---|
궁금합니다 (0) | 2014.01.15 |
啐啄同時(줄탁동시) (0) | 2013.11.26 |
다산 정약용의 애절양 (0) | 2013.11.13 |
苛政猛於虎(가정맹어호) (0) | 2013.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