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남산

[스크랩] 경주 남남산 열암곡 마애불

참땅 2009. 9. 8. 09:37
 

1,000년의 신비를 고스란히 간직한 대형 마애불 세상에 그 모습을 드러내다!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지병목)는 경주남산 열암곡(列岩谷) 석불좌상(石佛坐像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13호)의 복원정비사업과 관련한 발굴조사 중 통일신라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대형 마애불상(높이 약 5m)을 발견하였다.


이번에 발견된 불상은 암석(250×190×610㎝, 약70톤)의 면을 이용하여 고부조(高浮彫)로 조각한 마애불 입상이다. 불상이 조각된 암석은 원래 위치에서 경사진 앞쪽으로 넘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불상이 조각된 면이 지면에 닿아 있어 불상의 전체적인 면은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현재 암석의 남쪽 면 바위틈을 통해 대좌와 왼쪽 다리와 가슴·어깨 일부를 볼 수 있는 상태이다. 불상의 규모는 대좌에서 목까지가 430㎝이며, 지면에 묻혀있을 불두(佛頭)까지 포함한다면 전체 크기는 약 500㎝정도가 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까지 확인된 불상의 형태와 주변유적(열암곡 석불좌상)과의 관계로 미루어 보아 마애불의 조성 시기는 석불좌상과 같은 시기인 8세기 후반경이 아닐까 추정된다.


대부분의 마애불들이 수많은 세월의 풍화를 겪으면서 마모와 박락이 심한 상태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번에 발견된 열암곡 마애불은 조각된 면이 지면(地面)에 묻혀 있었기 때문에 아주 우수한 보존 상태를 보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예술적 우수성 또한 매우 높은 작품으로 근래 보기 드문 수작(秀作)으로 평가된다.


이번 발견은,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가 지난 4월부터 경주시의 의뢰로 열암곡 석불좌상(현재 불두가 결실된 상태, 사진 참조)의 불두(佛頭)(2005년 10월 인근 계곡에서 발견됨) 복원 및 주변 복원정비사업의 일환으로 실시하는 발굴조사 도중 확인되었다. 마애불은 석불좌상에서 약 20m 정도 떨어진 위치에서 발견된 것이다. 아마도 같은 경역 내에 위치하여 석불좌상과 더불어 예배대상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향후 주변부에 대한 정밀 조사를 확대해 전체적인 모습을 밝힐 예정이다.


특히 열암곡 석불좌상은 그 조각 수법이나 모습이 매우 아름다워서 불두 및 대좌 등이 복원되면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가 배가(倍加)되어 남산의 새로운 명물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번에 이와 연관이 있는 마애불이 같은 경역 내에서 발견됨으로써 향후 이 유적은 남산에서 가장 주목받는 우리 문화유산 성지(聖地)의 하나가 될 것이라 평가되고 있다.


이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에서는, 위의 경우처럼 방치된 우리 문화유산을 복원하고 정비하는 조사·연구 작업을 지속적으로 실시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이번 발견과 같은 귀중한 우리 문화유산을 발굴하고 알리는 중요한 성과가 계속 이루어질 것이라 기대된다

열암곡 석불좌상에서 바라본 마애불상이 새겨진 바위(백색 테두리 안)

- 여기까지는 문화재청 자료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유홍준 문화재 청장님도 참석하여 현장을 둘러보고 있네요.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마애불상이 조각된 바위 앞에서 기자와 인터뷰도 하고...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방송사 및 언론사 기자들은 현장 취재에 모두가 바쁘네요.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옷자락, 다리, 발, 대좌가 보이죠.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손등이 보이고 옷자락도...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옷자락이 새겨진 부위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열암곡에서 불두를 처음 발견한 분입니다.

 

포상금 중 50%는 땅주인에게, 불로소득세 20%, 또 뭔 세금 떼버리고, 술한잔 사고해서

별로 남는 것도 없더랍니다.

그래도 그 돈 갖고 해외여행(반 배낭여행이라네요) 갖다 온것만 해도...

흰색으로 덧 씌워진 것은 박물관으로 옮기기위해 포장한 것이랍니다.   

열암곡 석불좌상에서 불과 20여m 정도 떨어진 큰바위에서 발견된 이번 마애불상은 바위의 크기때문에

일으켜 세울 수 있을지도 의문입니다.

급경사인 곳에 위치하였기 때문에 지반의 흘러내림으로 인하여 엎어졌을 것으로 추정한답니다.

급히 점심 먹고 바쁘게 산으로 올라가느라 있는 힘 다 빼고...

한 한달정도 쏟아야 할 땀을 불과 몇십분만에 다 쏟아 뺐니더...

그래도 다녀온 보람은 있네요.

   


 


출처 : 저 산길 끝에는 옛님의 숨결
글쓴이 : 보일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