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수정등(岸樹井藤)의 법문
이 사바세계를 살아가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무엇엔가 쫓기며 고달프게 살아갑니다.
그리하여 무엇을 위하여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도 잊은 채 정신없이 내달리고
있습니다. 과연 우리 인간들은 무엇에 쫓기며 고달프게 살아가고 있는 것일까?
부처님께서는 '안수정등(岸樹井藤)'이라는 비유담을 통하여 쫓기며 살아가고 있는
우리네 인생의 실체를 깨우쳐 주셨습니다.
-------------------
건장한 사나이가 한없이 넓은 언덕을 거닐고 있었습니다. 평화로운 듯 하면서도
묘한 분위가 풍기는 언덕이었습니다.
쉬엄쉬엄 꽃도 구경하고 벌레들도 쫓고 언덕의 풍경도 감상하며 거닐고 있는데,
멀리 사방팔방으로 부터 사나운 불길이 일어나기 시작했습니다.
서서히 좁혀 들어오는 불길을 보면서 어떻게 벗어날까를 심각하게 고심하고
있는데, 불현듯 미친 코끼리 한 마리가 나타나 사납게 덤벼드는 것이었습니다.
먼 곳의 불길보다는 미친 코끼리를 피하기에 급급했던 사나이는 황급히 도망을
쳤고, 눈앞에 큰 나무가 나타나자 죽을힘을 다해 올라가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코끼리는 다른 곳으로 떠나갈 기미를 보이지 않고, 계속 나무 밑을 맴돌며
그가 내려오기만을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나무에 의지하여 한숨을 돌리기는 하였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배가 고프고
갈증이 나서 견딜 수가 없었습니다. 그는 탈출할 길을 찾았고, 마침 나무에 얽혀 있는
칡덩굴이 아래쪽의 크고 깊은 우물로 드리워져 있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사나이는 위험을 무릅쓰고 칡덩굴에 매달렸고, 차츰 아래로 내려가 우물 속으로
들어갔습니다.
그러나 우물 속이라 하여 평화롭지는 않았습니다.
우물 밑바닥에는 용이 되려다가 뜻을 이루지 못한 이무기 세 마리가 떨어지면
잡아먹겠다며 큰 입을 벌리고 있었고, 우물가에는 독사 네 마리가 혀를 날름거리며
잔뜩 노려보고 있었습니다.
사나이는 식은땀을 흘리며 목숨 줄인 칡덩굴에 꽉 매달려 버텼지만,
차츰 힘은 빠지고 손은 저려왔습니다.
그나마 빨리 떨어지라고 우물 위쪽에서는 흰 쥐와 검은 쥐가 교대로 칡덩굴을
조금씩 조금씩 갉아먹고 있었으니....
'죽었구나!' 생각하며 칡덩굴만 잡고 있는데, 갑자기 입안으로 액체 한 방울이
들어왔습니다. 고개를 들어보니 나무 구멍에 지어 놓은 벌집으로부터 꿀방울이
똑똑 떨어지는 것이었습니다.
달디 단 그 꿀은 모든 것을 잊게 했습니다.
달콤한 한두 방울의 꿀을 받아먹는 재미에 사나이는 더 이상 탈출할 생각을 하지 않고, 인생의 괴로움과 죽음의 두려움을 모두 잊은 채 칡덩굴에 매달려 있었습니다.
----------------------------
[빈두설경]에 기록되어 있는 이 안수정등(岸樹井藤)의 비유담은 우리의 인생을
언덕{岸}과 나무{樹}와 우물{井}과 칡덩굴{藤}로 엮어서 만든 이야기입니다.
사나이가 거니는 언덕은 바로 우리가 살고 있는 차안(此岸)인 사바세계입니다.
영원하고 행복하고 자유롭고 깨끗한 피안(彼岸)의 세계와는 달리,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차안은 괴로움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사방팔방으로부터 사나운 불길이 일어나 우리를 엄습하고 있는 것입니다.
사방팔방으로부터 일어나는 불길!
그 불길은 바로 '중생이라면 결코 피할 수 없다'고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던
사고(四苦)와 팔고(八故)입니다.
①태어나는 것은 괴로움이다[生苦]
②늙은 것은 괴로움이다[老苦]
③아픈 것은 괴로움이다[病苦]
④죽는 것은 괴로움이다[死苦]
⑤미운 이와 만나는 것은 괴로움이다[怨憎會苦]
⑥사랑하는 이와 헤어지는 것은 괴로움이다[愛別離苦]
⑦구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것은 괴로움이다[求不得苦]
⑧번뇌가 치성하는 이 삶 자체가 괴로움이다[五陰盛苦]
사바세계의 중생은 이와 같은 괴로움을 당연한 것인 양 받아들여야 합니다.
사바에 태어난 중생이 받아야 하는 업(業)이 바로 4고요 8고라는 것을 자각하여,
기꺼이 받아들이고 능히 감당하고자 할 때 행복의 문이 열리기 시작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이와 같은 괴로움 자체를 싫어합니다.
자신도 모르게 태어났으니 태어남의 괴로움은 어쩔 수 없다 할지라도,
늙기 싫어하고 병들기 싫어하고 죽는 것은 더더욱 싫어합니다.
그리고 그 싫은 것으로부터 멀리멀리 달아나고자 합니다.
달아나면 편안한 곳에 이를 것처럼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무상(無常)의 살귀(殺鬼)인 미친 코끼리는 달아날 기회조차 주지 않습니다.
인정사정없는 코끼리는 '지은 업대로 살다 죽어라'며 사정없이 우리를 내몰아
버립니다. 마침내 미친 코끼리에 쫓겨 올라간 곳은 나무 위,
그 나무는 바로 업연처(業緣處)입니다.
우리는 이 외로운 나무, 곧 가정이나 직장 등의 업연처에 의지하여 삶의 길을
찾습니다. 그렇지만 업연처에 의지하여 살기란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닙니다.
잠자리도 불편하고 먹을 것도 입을 것도 변변하지 못합니다.
도무지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것이라곤 찾아보기가 힘듭니다.
그래서 우리는 새로운 탈출구를 찾습니다.
미친 코끼리인 무상의 살귀와 불편하게 지낼 수밖에 없는 업연처로부터 벗어나
편안히 머물 수 있는 자리를 찾는 것입니다.
마침 나무에 얽혀 있는 칡덩굴이 아래쪽의 크고 깊은 우물로 드리워져 있는 것을
발견하고는, 위험을 무릅쓰고 칡덩굴에 매달려 아래로 내려갑니다.
하지만 업을 피해 도망간다고 하여 결코 특별한 곳에 이르지는 못합니다.
목숨 줄인 칡덩굴을 타고 내려가 닿는 우물의 밑바닥은 바로 황천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언제나 황천을 향하고 있습니다.
목숨 줄인 칡덩굴만 놓아 버리면 황천이요, 내생입니다.
그러므로 있는 힘을 다해 목숨 줄인 칡덩굴을 부여잡고 견뎌야만 합니다.
더욱이 우물 속의 사정은 탈출을 했던 나무 위보다 좋지가 않습니다.
우물 밑바닥에는 이무기 세 마리가 떨어지면 잡아먹겠다며 입을 크게 벌리고 있고,
우물 입구사방에는 독사 네 마리가 혀를 날름거리며 잔뜩 노려보고 있기 때문입니다.
세 마리 이무기와 네 마리 독사는 삼독(三毒)과 사대(四大)입니다.
삼독은 탐욕과 분노와 어리석음입니다. '나'에게 맞으면 탐욕을 일으키고,
'나'에게 맞지 않으면 분노하며, '나'의 탐욕을 채우고 분노를 달래기 위해 갖가지
어리석음을 저지릅니다. '나'를 위해 세 가지 독기운을 뿜어내는 것입니다.
'나'를 위해 뿜어낸 이 세 가지 독기운은 세 마리 이무기가 되어 '나'를 통째로
삼키려 하고 있는 것입니다.
또 네 마리 독사는 우리 몸을 구성하고 있는 네 가지 기운인 지(地) 수(水) 화(火)
풍(風)을 뜻하는 것으로, 목숨이 떨어지면 곧바로 그 기운들을 거두어가기 위해
도사리고 있는 것입니다.
더욱이 해와 달을 상징하는 흰 쥐와 검은 쥐가 번갈아 가면서 목숨 줄인
칡덩굴을 갉아먹고 있으니....
이것이 우리네 인생의 실체입니다. 괴롭고 슬프고 무상하고 덧없기 짝이 없는 것이
우리네 인생입니다. 그런데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나무 위 벌집에서 떨어지는
달콤한 꿀 한 방울을 받아먹는 재미로 인생의 실체를 잊으며 살아갑니다.
달콤한 꿀물! 그것은 오욕락(五欲樂)입니다.
먹고 싶은 것을 마음껏 먹는 즐거움{食欲樂},
마음에 맞는 이성과 함께 하는 즐거움{色欲樂},
많은 재물을 갖는 즐거움{財欲樂},
이름을 떨치는 즐거움 {名欲樂},
뜻대로 휴식을 취하는 즐거움{睡欲樂}에 빠져 괴롭고 슬프고 무상하고 덧없는
인생살이를 모두 잊고 살아가고 있는 것입니다. -월간 [법공양] 에서-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8번뇌와 108의 의미 (0) | 2011.11.16 |
---|---|
스님의 호칭 (0) | 2011.11.16 |
옴 마 니 반메 홈- 육자대명주 (0) | 2011.09.05 |
조왕고사- 민간신앙 (0) | 2011.08.24 |
경주 맛집 6곳 (0) | 2011.08.17 |